본문 바로가기

Language76

[JavaScript] 객체의 기본형, 객체의 종류 객체의 기본형 객체.메서드(); // 객체의 메서드 실행한다. 객체.속성; // 객체의 속성값을 가져온다 . 객체.속성 = 값; // 객체의 속성값을 바꾼다. 객체 생성 방법 참조변수(인스턴스 이름) = new 생성 함수() var computer = new Object(); computer.color = "black"; computer.price = 30000; 객체의 종류 내장 객체: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내장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에 생성해서 사용한다.내장 객체로는 문자(String), 날짜(Date), 배열(Array), 수학(Math) 객체 등이 있다. 브라우저 객체: 브라우저 객체 모델(BOM): 브라우저에 계층 구조로 내장되어 있는 객체를 말한다. 브라우저 객체로는 window, screen, .. 2020. 8. 21.
[React] Module not found: 'redux' Module not found: 'redux' error가 뜬다면 npm i redux 또는 npm install --save redux 로 해결 가능하다. 2020. 8. 18.
useRef로 특정 DOM 선택하기 / useState, useRef JavaScript 를 사용 할 때에는, 우리가 특정 DOM 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getElementById, querySelector 같은 DOM Selector 함수를 사용해서 DOM 을 선택한다.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ref를 사용할 때는 useRef 라는 Hook 함수를 사용한다. useState, useRef의 공통점 useState와 useRef의 기능상의 공통점은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동적으로 상태 관리를 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입니다. 간단한 예시로, 버튼이 클릭 되었을때 주어진 state를 “Humanscape!” 라는 string으로 변환하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useState와 useRef를 통해 아래와 같이 다르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. useState.jsx import React, .. 2020. 7. 29.
[JavaScript] DOM이란 무엇인가? JavaScript를 공부하다보면 브라우저 기반의 여러 객체들에 대해서 듣게 됩니다. 처음부터 이 객체들이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 하지만 JavaScript는 이런 웹 브라우저 기반의 객체 위에서 동작하니 잘 알아야겠죠. 이번 포스팅에서는 DO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BOM이란 무엇인가? 웹 서비스 개발은 브라우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. 모든 서비스는 사실 웹 브라우저를 바탕으로 실행이 되니까요. 이 브라우저와 관련된 객체들의 집합을 브라우저 객체 모델(BOM: Browser Object Model)이라고 부릅니다. 이 브라우저 객체 모델(BOM)을 이용해서 Browser와 관련된 기능들을 구성합니다. DOM은 이 BOM 중의 하나입니다. 브라우저 객체 모델(BOM)의 최상위 객체는.. 2020. 7. 29.